에피소드 2
1. 집안의 방사능 ‘라돈’ 2. 방범창 점검, 당신의 집은 안전합니까? 3. 인터넷 가격 오류, 어떻게 보상받아야 할까?
제로맨이 간다▶집안의 방사능 ‘라돈’지난 해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 공포가 대한민국을 뒤덮었다.‘세슘 비’, ‘방사능 고등어’ 등 전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방사능 이슈들! 하지만 우리가 이미, 집 안에서 방사능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없다. 에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생활방사선 ‘라돈’의 위험성을파헤친다.-라돈은 남의 얘기?! 당신의 집이 위험하다‘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라돈’! 라돈은 무색무취의 기체로, 우라늄이 붕괴하면서생기는 방사능 동위원소 중 하나다. 폐암 유발원인 2위로 알려진 라돈! 호흡을 통해우리 몸에 들어온 라돈 가스는 폐 세포를 손상시켜 폐암을 유발한다. 미국에서는연간 2만 1천여 명이 라돈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한다.그렇다면 우리가 가장 많은 양의 라돈에 노출되는 공간은 어디일까? 바로 하루 중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 그래서 불만제로가 직접 확인에 나섰다. 서울지역 20곳의 가정을 대상으로 한 실내 라돈 농도 측정! 20%의 가정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검출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학교에도 방사능이?가정뿐 아니라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도 라돈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2010년 전국 103개의 학교를 대상으로 한 라돈 농도 조사에서 무려 22곳의 학교가 권고치를 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 아이들이 많게는 48배나 높은 농도의 라돈에서 생활하고 있었다는 것. 그렇다면 학부모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을까? 불만제로 취재 결과, 다들 금시초문이라는 반응. 내 아이, 내 가족의 건강을 위협하는 감춰진 발암물질 라돈! 어떻게 해야 할까?고소한 실험* 본 코너는 다시보기 서비스를 하지 않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방범창 점검, 당신의 집은 안전합니까?매년 강력범죄율이 증가하고 있다. 2010년 58만5637건, 지난해 61만7910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28만691건이 발생했다.범죄 증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지는데...범죄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막고자 설치하는 방범창.과연 얼마나 안전한지 고소한 실험에서 확인한다!-우리 집은 안전할까? 방문 방범창 점검!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범창은 안전한지사유리가 범죄전문가와 직접 방문점검 했다.몇 년 전 도둑이 들어 튼튼한 방범창으로 달았다는 소비자들!보강재가 들어가 튼튼하다는 업체 말을 믿고 달았다는데..범죄전문가가 직접 범행에 사용되는 도구로 방범창이 얼마나 버티는지 실험했다.-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방범창 안전할까?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방범창들. 모양부터 소재까지 다양하다.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철 등 튼튼하다고 광고하는 제품들.과연 방범창은 안전할까?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직접 범행에 사용되는 도구를 이용해 방범창을 뜯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 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범창인 알루미늄 방범창부터 보강재가 들어간 알루미늄방범창과 스테인레스방범창, 돌출형, 자바라, 디자인 방범창, 국제인증을 받았다는 방범창 까지 다양한 종류로 9개의 방범창을 구입했다.과연 방범창은 안전할지, 고소한 실험에서 그 결과를 공개한다.불만의 재구성▶인터넷 가격 오류, 어떻게 보상받아야 할까?비싸서 엄두도 못 내던 190만 원짜리 최신형 TV가 17만원?!횡재 찬스는 놓칠 수 없는 불만가족.복잡한 결제 과정을 거쳐 17만원 TV를 주문하고 오매불망 기다렸다.그런데, 쥐도 새도 모르게 취소되고 만 불만가족의 주문!가격표기 실수였다며 없던 일로 하자는 직원의 대답만 돌아오고...과연, 정말 '없던 일'로 해도 되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