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2
가계 빚 900조, 해법을 찾아서
2011년 9월, 대한민국 가계 빚 규모가 900조에 이르렀다! 대출 이자만 총 56조 2천억 원, 가구당 평균 부채액수는 5천만 원이 넘는다. 더 심각한 문제는 부채의 증가 속도! 2011년 가계 부채의 증가 속도는 작년 대비 자산증가 속도의 2배에 이른다. 우리나라 가계 빚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택담보 대출과 생활비 마련을 위한 대출. 그러나 지난 6월 금융위원회의 조사 결과, 생활비 마련을 위한 대출이 늘고 있고,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들이 집을 사지 않고 생활비 등 타 용도로 소비하는 경우가 전체의 절반(46.8%)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기한 내 부채 상환이 어려운 취약대출 비중도 심각한 상황. 가정경제의 기반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가계 빚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정부는 지난 6월, 주택담보대출의 5% 고정금리 비중을 높이고 대출규제를 강화한다는 내용의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늦게나마 정부 대책이 마련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이미 불어난 가계 빚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데다, 저소득층 서민들만 더 대출이 어렵게 됐다는 것. 부채 증가 속도를 늦추기 위해 대출을 규제한다면 대출심사를 통과하기 어려운 서민, 여성들은 제도권 금융을 이용하지 못한 채 상대적으로 이자가 높은 제2, 제3금융권 또는 사채업자에 기댈 수밖에 없고, 연이율 30~40%를 넘나드는 비 은행권의 고금리 대출은 부채 증가 속도와 연체율을 더욱 부채질할 것이 뻔하다. 일부 전문가는 이미 부채대란이 시작됐고, 더 이상 막기 어려울 것이라는 어두운 예측도 내놨다.한국 경제의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가계 빚!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 빚이 우리 가정, 그리고 여성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은 무엇일까?◈ 출연 패널이혜훈 (17,18대 국회의원 , 한나라당 사무부총장)김진애 (18대 국회의원,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차은영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제윤경 (에듀머니 대표, 서울시 시민기획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