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구석구석을 누비며 바쁜 현실 속 잠시 잊고 지냈던 대한민국의 진짜 맛과 멋을 소개하고, 때 묻지 않은 순수함을 지닌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본다.
에피소드 1
푸른 겨울이 찾아드는 땅 - 전남 고흥
사시사철 흥에 겨운 푸른 겨울의 땅 - 전남 고흥 한반도 남쪽 땅 끝에 호리병 모양으로 매달려 간신히 섬을 면한 고흥반도. 농한기에 접어드는 다른 고향과 달리 고흥의 12월은 수확으로 바쁘고 분주하다. 겨울에도 일 손을 놓지 못한다는 고흥 사람들! 넉넉하고 푸른 고흥의 겨울을 만나본다. 1. 고흥반도의 관문 - 동강 오일장 매달 1,6일이면 어김없이 사람들이 찾아와 정겨운 옛모습 그대로 흥성거리는 동강 오일장. 찢어진 고무신, 구멍 뚫린 장화를 새 것처럼 고치는 신기료 장수가 있고 문 저리(망둥이)를 뻥튀기하는 신기한 오일장으로 찾아가본다. 2. 김장봉투 입고 낙지 캐러 산으로 간다! 힘 좋고 맛좋기로 유명한 '고흥 뻘낙지'는 하루 두 번 물길이 열리는 신비한 섬 '우 도'에서 나온다. 호미 하나로 낙지를 사냥하는 우도의 '낙지 호랭이' 송옥순(72)할머 니와 뻘낙지를 캐보고 인근의 벌교, 순창사람들도 모른다는 고흥만의 향토음식 '낙 지 팥
에피소드 2
우직하게 지켜온 맑고 푸른 고향, 경북 청도
우직하게 지켜온 맑고 푸른 고향, 경북 청도 산이 푸르고 물이 맑으며 인심이 좋다 하여 삼청(三淸)의 고장이라고 불리는 경상북 도 청도(淸道). 소처럼 우직한 사람들이 부지런히 살아가는 곳. 추운 겨울이지만 따뜻한 봄처럼 푸르른 땅, 청도를 만나다! 1. 고향을 지키는 사람들의 시골5일장 1,6일에 장이 열리는 풍각장은 직접 가꾼 농산물을 가지고 나오신 난전 할머니들로 왁자지껄 정신이 없다. 시어머니 때부터 비법이 전수되고 있다는 40년 전통의 소머 리국밥집부터 막걸리와 함께 먹는 국화빵의 별미까지. 세월이 지남에 따라 풍각장을 찾아오는 사람은 줄어들고 있지만, 묵묵히 시간을 지 키는 사람들의 시골장터 이야기. 2. 자연이 내려준 풍요로운 청도의 선물 전국 감 생산량의 30%를 차지하는 청도 감! 둥글넙적해 반시라 불리는 청도 감은 독 특하게 씨가 없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청도만의 특별한 감이 있다는데. 바로 쫄깃쫄깃 씹는
에피소드 3
크게 구하고 품는 땅 - 거제도
1. “첫 대구 잡았다이~!” “눈물 콧물 빼면서 잡아도 애들은 그걸 몰라!”-외포리 마을 첫 대구잡이의 염원 올 해 겨울 외포리 마을에 첫 대구잡이 배가 떴다. 거제 대구가 걸려드는 그물은 보 름전 말뚝을 박고 2~3일전 쳐놓은 일명 ‘호망’! 새벽 바다를 가르며 달려간 외포리 연안, 그물을 거두니 물메기, 가오리, 자리돔 등 다양한 생선들! 그중 가장 크고 양반 같은 모양으로 꿈틀대지 않는 생선이 있다. 바로 대구! 큰 입을 가진 생선이라해서 대구(大口)라는 이름처럼 입도 크고, 몸집도 큰 심해 생 선. 북태평양 연안까지 올라갔다가 12월이면 한류타고 잔잔한 거제 앞바다에 산란 을 위해 내려올때 외포리 어부들은 그 대구떼 덕분에 긴겨울을 살아간다. 총 68척의 어선이 하루 평균 3.5톤의 대구를 수확하는 살아있는 겨울! 1월 전국에 대구 금어기 가 내려져도 최대 생산지인 외포리는 예외다. 그렇기에 외포리사람들은 조상대대로 이곳 대구맛이 최고라
에피소드 4
마르지 않는 축복의 땅, 전남 해남
퍼내고 퍼내도 마르지 않는 땅과 바다, 넉넉한 웃음을 간직한 사람들이 바지런히 살아가는 곳, 땅 끝 해남으로 떠나다. 1. “사람을 찾았으니 해남이 생명의 은인이죠.” -배추밭에서 만난 3대 귀농 가족 우리나라 겨울배추의 80%가 생산되는 해남. 남녘의 따뜻한 햇살과 맑은 해풍, 기름 진 황토가 푸르게 키워낸 배추밭에서 유쾌한 가족을 만나다. 해남이 생명의 은인이 라는 부모님과, 자연 속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싶은 젊은 부부의 특별한 귀농 이야기 를 듣는다. 2. “아따, 자식들 입에 넣는 것이 재미지제~~” -신홍 마을 꿀 까던 날 삼면이 바다인 해남, 물이 밀려나면 바다가 일군 밭이 열린다. 겨울이면 갯바위에 지 천으로 피는 자연산 석화는 볕을 쬐며 자라 옹골차고 향이 짙다. 꿀이라 불리는 석화 를 까기 위해 갯벌로 나서는 신홍 마을 아낙들, 자식에게 평생 화수분이고 싶은 어머 니의 마음이 칼바람을 이긴다. 3. 옛날 그대로, 햇볕과 바람이
에피소드 5
굴하지 않는 생명력의 땅 - 경북 울진
굴하지 않는 생명력의 땅 - 경북 울진 산림이 울창하고 진귀한 특산품이 많아 예부터 '보배로운 고장'이라 불리운 울진(蔚 珍). 하지만 사람들은 울진을 험준한 산맥과 거친 바다에 가로막힌 오지라 말한다. 아름 답지만 험한 자연 환경에 굴하지 않고, 강인한 생명력으로 살아가는 울진 사람들을 만나본다. 후포항에 첫 대게 드는 날! 전국 대게생산량의 45%를 차지하는 울진. 12월 대게잡이가 시작되면 후포항은 그야 말로 ‘게판’이다. 몸집이 크고 황금빛을 띄는 박달대게는 울진의 보물 중의 보물! 좋 은 값에 대게를 사기 위한 후포항의 경매는 조금 낯설다. 조개같은 손칠판이 열리고 닫히길 반복한 끝에 후포항을 가득 메웠던 대게는 전국 각지로 흩어진다. 대게마을 거일리의 호사스러운 보릿고개 음식 평해읍 거일리는 울진 대게 최대 서식지 왕돌초 근처에 있어, 동력선이 등장하기 전 까지 대게를 잡던 항구 마을이다. 거친 바다를 뚫고 대게를 잡아 보릿
에피소드 6
겨울에도 빛나는 고향, 강원도 고성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해 사람들의 손길이 거의 닿지 않은 곳. 그래서 그 곳에는 넉넉한 동해바다와 강인한 생명력이 넘치는 백두대간이 생생하게 살아있다. 맑고 깨끗한 자연을 닮은 순수한 사람들이 지키고 있는 고향. 겨울에도 빛나는 고향, 강원도 고성으로 떠납니다. 1. 고성의 청정바다에서 올라온 제철 맞은 생선! 누구보다 일찍 아침을 여는 사람들. 바로 강원도 고성 공현진항의 어민들이다. 매서운 바닷바람과 거친 파도에도 물러서지 않고 매일 조업활동을 나가는 어민들. 겨울에도 넉넉한 고성의 바다가 그들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알이 꽉 찬 도루묵, 시원한 국물이 일품인 대구, 못생겼지만 맛은 끝내준다는 도치 그리고 동해안의 명물 오징어와 대게까지. 매일 아침 호루라기 소리와 함께 시작하 는 어판 현장에는 고성 겨울바다의 풍족함과 넉넉함이 생생하게 살아 있다. 바다가 주는 만큼만 받는다며 소박하게 웃는 사람들이 사는 곳, 고성의 공현진항을 소
김원효
송은이
김숙
노주현
서인
정남
문희명
전우석
김성진
최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