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대한민국. 온 국가가 출산율을 높여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시대, 과연 대한민국은 아이를 낳으면 잘 키울 수 있는 나라일까?
에피소드 1
1. 0.78 이후의 세계
10부작 총론, 인구 변화 데이터를 통한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 제기하고 저출생이 사회 핵심 기능인 교육, 경제, 국방,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한다.
에피소드 2
2. 결혼ㆍ출산ㆍ양육 비용 분석 프로젝트
우리는 왜 아이를 낳지 않는 사회가 되었을까? 결혼, 출산, 양육 비용 계산 프로젝트를 통한 경제적 원인의 실체 확인
에피소드 3
3. 2030 심리 보고 시대 현상소
왜 아이를 낳지 않는 사회가 되었을까? 소셜 데이터를 통해 본 저출생의 이면에 자리잡은 2030세대의 심리적·문화적 요인에 대한 분석
에피소드 4
4. 조용한 혁명: 일, 가정, 시간
엄마가 ‘일’과 양립할 수 있는 사회를 넘어 아빠가 ‘가정’과 양립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한, 나아가 ‘시간’적 관점에서 부모가 온전히 아이를 돌볼 수 있는 사회를 위한 인식 제고 및 제도적 대안 제시.
에피소드 5
5. 보이지 않는 도시
폭발과 소멸의 시그널을 보이는 두 도시 이야기를 통해, 모두가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횡적 연대를 위한 해법 모색
에피소드 6
6. 스웨덴-백 년의 유산, 부모의 권리
1930년대 심각한 인구 위기 상황에서 인구 담론 전환을 이루어내고, 100년에 걸쳐 노력해 온 스웨덴의 경험 분석